ETF / Fund 와의 차이는 무엇일까?

투자 공부/주식 용어

ETF / Fund 와의 차이는 무엇일까?

THPP 2021. 10. 21. 15:09
728x90
반응형

국내 주식만 하다가 미국 주식에 분산 투자를 하고 싶어, 여러 종목을 찾다 보니 ETF 라는 종목이 있었다.

Fund는 S&P500 지수를 추종 하는 Fund에 투자를 하고 있는데..ETF는 개념이 없어서 공부 하고 기록을 남긴다.

 

우선 주식 투자에는 두가지의 방법이 있는데, 내가 직접 투자하는 방법과 자산 운용사와 같은 전문가들에게 보수를 주고

투자를 맡기는 간접 투자 방법이 있다. 그 간접 투자 중 Fund와 ETF의 차이를 공부 해보고 기록을 남기려고 한다.

 

우선은 펀드에 대한 내용을 내가 투자 하고 있는 S&P500 인덱스 펀드를 예를 들어 정리 하자면, 목표 지수를 선정 하고 예를 들면 Kospi 지수, NASDAC 지수, S&P500 지수와 같은 목표를 정한 뒤에, 이 지수와 같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도록 운용하는 펀드를 말한다. 이게 처음에 이해가 잘 안됐는데.. 내가 KOSPI 인덱스 펀드에 가입을 하면 운용사들은 이 KOSPI 지수에 추종 하는 수익률을 만들기 위해서 KOSPI 내에서 주가 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많이 미치는 종목에 투자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삼성전자나 네이버와 같이..그러면 이 개별 종목에 의해 KOSPI 지수가 움직이게 될 것 이고 펀드 수익률도 이 지수에 맞게 움직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아무래도 지수 추종이기 때문에, 개별 종목과 같이 단 하나의 종목에 투자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간접 투자의 방법이다.

 

그래서 연이어 ETF 의 정의와 투자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ETF란 Exchange Traded Fund의 약어로써 쉽게 말해서 Fund를 개별 주식 처럼 상장 시켜 매수와 매도가 가능 하게 한 투자 방법이다. 생각 해보면 개별 주식 보다 분산 투자를 할 수가 있어서, 나와 같은 초보자가 투자 하기엔 가장 좋은 간접 투자 방법 이라고 생각 되어 진다. 예를 들면 미국의 필라델피아 반도체 ETF라고 하면...NASDAC에 상장 되어 있는 우량 반도체 기업에 분산 투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Risk를 줄일 수 있을 것 같다고 생각 된다.  그리고 아무리 생각해도 ETF가 가장 좋은 투자 방법인 것 같은데...단점은 어떤 것이 있을까 생각 해봐도 마땅히 떠오르지가 않는다..

 

혹시 이 포스팅을 보시는 나와 달리 투자 고수분들이 ETF의 단점도 알려 주시면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728x90
반응형
LIST